<p style="TEXT-ALIGN: right" align="right"><span style="FONT-SIZE: 24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">세계사이버대학 약용건강식품학과</span></p><p style="TEXT-ALIGN: right" align="right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ahoma"><strong>진정희교수</strong></span></p><br/><br/><br/><p style="TEXT-ALIGN: center"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; COLOR: rgb(13,81,76)"><strong>" 2016년 새 출발을 위한 건강관리 "</strong></span></p><br/><br/><!--StartFragment--><blockquote class="se2_quote4" style="BORDER-TOP: rgb(102,178,70) 1px dashed; HEIGHT: 63px; BORDER-RIGHT: rgb(102,178,70) 1px dashed; WIDTH: 638px; BORDER-BOTTOM: rgb(102,178,70) 1px dashed; ZOOM: 1; COLOR: rgb(136,136,136); PADDING-BOTTOM: 10px; PADDING-TOP: 10px; PADDING-LEFT: 10px; MARGIN: 0px 0px 30px; BORDER-LEFT: rgb(102,178,70) 1px dashed; PADDING-RIGHT: 10px; border-image: none"><p class="바탕글" style="FONT-SIZE: 11pt; FONT-FAMILY: 휴먼명조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; COLOR: rgb(128,0,128)">세계보건기구</span><span lang="EN-US"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">(WHO)의 헌장에는 “건강이란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것만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 ·정신적 ·사회적으로 완전히 안녕한 상태에 놓여 있는 것”이라고 정의하고 있다.</span></p></blockquote><p class="바탕글" style="FONT-SIZE: 11pt; FONT-FAMILY: 휴먼명조"><span lang="EN-US"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"></span></p><p class="바탕글" style="FONT-SIZE: 11pt; FONT-FAMILY: 휴먼명조"><span lang="EN-US"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"> 또한, 한국의 </span><a class="con_link" href="http://terms.naver.com/entry.nhn?docId=1162710&ref=y" target="_blank"><u style="text-underline: #000000 single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; COLOR: rgb(0,0,255)">헌법</span></u></a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">에는 건강을 “모든 국민이 마땅히 누려야 할 기본적인 권리”라고 규정하고 있어 건강을 하나의 기본권적 개념으로 보고 있다. 그러나 잡코리아가 직장인들에게 '스스로 건강하다고 생각하는지' 묻자 47.3%의 직장인들이 '건강하지 않다'고 답했고 건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'휴식을 취해도 피로가 풀리지 않아서(69.4%)', '주기적인 통증 탓에(44.4%)' 등의 이유를 들었다고 한다. 더불어 평소에 건강관리를 하고 있는지를 물었는데 응답자의 51%가 ‘그렇다’고 답했고 가장 많이 하는 건강관리는 ‘규칙적인 운동’ 으로 52%가 대답했으며 환절기 건강관리법 1위는 ‘면역력을 높이는 음식 섭취’가 응답자의 62.1%로 나타났다. </span></p><p class="바탕글" style="FONT-SIZE: 11pt; FONT-FAMILY: 휴먼명조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"></span></p><p class="바탕글" style="FONT-SIZE: 11pt; FONT-FAMILY: 휴먼명조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">이와 같이 질병이 없는 상태라는 수동적 건강에 대한 태도에서, 금주 ·금연 등 생활습관의 변화나 운동 같은 적극적으로 건강해지려는 노력의 능동적 태도가 강조되고 있는데 평소 몸 상태에서부터 질병 치료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으로 건강을 되찾기 위해 제일 적합한 방법을 매일 연구한 아쟈키 유치로 의사는 그 해답이 ‘면역력’ 이라고 밝히며 </span></p><p class="바탕글" style="FONT-SIZE: 11pt; FONT-FAMILY: 휴먼명조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"></span></p><p class="바탕글" style="FONT-SIZE: 11pt; FONT-FAMILY: 휴먼명조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">다음과 같이 [면역력을 키우는 법!]을 강조하고 있다. </span></p><p class="바탕글" style="FONT-SIZE: 11pt; FONT-FAMILY: 휴먼명조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"></span></p><blockquote class="se2_quote8" style="BORDER-TOP: rgb(229,229,229) 1px solid; HEIGHT: 470px; BORDER-RIGHT: rgb(229,229,229) 1px solid; WIDTH: 653px; BACKGROUND: none transparent scroll repeat 0% 0%; BORDER-BOTTOM: rgb(229,229,229) 1px solid; ZOOM: 1; COLOR: rgb(136,136,136); PADDING-BOTTOM: 10px; PADDING-TOP: 10px; PADDING-LEFT: 10px; MARGIN: 0px 0px 30px; BORDER-LEFT: rgb(229,229,229) 1px solid; PADDING-RIGHT: 10px; border-image: none"><p class="바탕글" style="FONT-SIZE: 11pt; FONT-FAMILY: 휴먼명조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; COLOR: rgb(106,101,187)">첫 번째, 식사는 기본, 운동은 보조로써 운동에만 치중하고 중요 영양소 섭취를 등한시 한다면 면역력은 더욱 떨어지는 역효과가 날 수 있다고 한다. </span></p><p class="바탕글" style="FONT-SIZE: 11pt; FONT-FAMILY: 휴먼명조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; COLOR: rgb(106,101,187)"></span></p><p class="바탕글" style="FONT-SIZE: 11pt; FONT-FAMILY: 휴먼명조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; COLOR: rgb(106,101,187)">두 번째, 영양보충제는 절대로 식사를 대신 할 수 없으므로 균형 잡힌 식생활은 면역력을 키우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소라고 강조한다. </span></p><p class="바탕글" style="FONT-SIZE: 11pt; FONT-FAMILY: 휴먼명조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; COLOR: rgb(106,101,187)"></span></p><p class="바탕글" style="FONT-SIZE: 11pt; FONT-FAMILY: 휴먼명조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; COLOR: rgb(106,101,187)">세 번째, 아침식사는 면역 균형을 조절 하게 되는데 낮에는 교감신경, 밤에는 부교감신경이 활성화 되어 있으므로 자율신경의 균형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아침식사를 거르지 말 것을 강조한다.</span></p><p class="바탕글" style="FONT-SIZE: 11pt; FONT-FAMILY: 휴먼명조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; COLOR: rgb(106,101,187)"></span></p><p class="바탕글" style="FONT-SIZE: 11pt; FONT-FAMILY: 휴먼명조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; COLOR: rgb(106,101,187)"> 네 번째, 목욕 후에는 아이스크림 보다는 요구르트 섭취를 권장하는데 목욕 후 상승된 몸의 체온을 차가운 설탕으로 낮추는 일은 면역기능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으므로 단백질과 칼슘의 발효과정을 거친 영양가 높은 요구르트를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했으며 </span></p><p class="바탕글" style="FONT-SIZE: 11pt; FONT-FAMILY: 휴먼명조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; COLOR: rgb(106,101,187)"></span></p><p class="바탕글" style="FONT-SIZE: 11pt; FONT-FAMILY: 휴먼명조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; COLOR: rgb(106,101,187)">다섯 번째, 향이 강한 채소들 즉, ‘일곱 번째 영양소’로 주목받고 있는 식물에 들어있는 ‘피토케미컬’ 이라 불리는 천연 화학물질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토마토의 리코펜, 당근의 베타카로틴, 고추의 캡사이신 등이 대표적인 물질이라고 할 수 있다. </span></p></blockquote><p class="바탕글" style="FONT-SIZE: 11pt; FONT-FAMILY: 휴먼명조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"></span></p><p class="바탕글" style="FONT-SIZE: 11pt; FONT-FAMILY: 휴먼명조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">이러한 영양소들은 항산화 작용으로 활성 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">산소를 억제하고 면역기능을 강화 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이들의 섭취를 적극 권장한다</span><span lang="EN-US"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">.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약식동원(藥食同源) 혹은 『</span><a class="con_link" href="http://terms.naver.com/entry.nhn?docId=1635470&ref=y" target="_blank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; COLOR: rgb(0,0,255)">의식동원</span></a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">』이라 하여 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">약도 먹는 것(식물)도 그 근원은 하나라고 여겨왔다.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품재료들을 </span><a class="con_link" href="http://terms.naver.com/entry.nhn?docId=1635459&ref=y" target="_blank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; COLOR: rgb(0,0,255)">음양오행설</span></a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">에 기초하여 배합 하고 이것을 </span><a class="con_link" href="http://terms.naver.com/entry.nhn?docId=1635203&ref=y" target="_blank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; COLOR: rgb(0,0,255)">약선</span></a><span lang="EN-US"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">(藥膳)이라 하였고 고대로부터 중국에서 건강의 유지, 증진에 우수한 효능, 효과를 가진 것으로 생각하였다. 사회 구성원 개개인이 건강하며, 건강을 장래에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은 그 자신을 위해서 뿐 아니라 사회 전체를 위해서도 커다란 의미를 가지며 이익이 된다.</span></p><p class="바탕글" style="FONT-SIZE: 11pt; FONT-FAMILY: 휴먼명조"><span lang="EN-US"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"></span></p><p class="바탕글" style="FONT-SIZE: 11pt; FONT-FAMILY: 휴먼명조"><span lang="EN-US" style="FONT-SIZE: 12pt; FONT-FAMILY: times new roman"> 따라서 2016년 힘찬 새 출발을 위해서 우리 스스로 면역력 상승을 위한 꾸준한 건강관리의 노력이 필요함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. </span></p><p class="바탕글" style="FONT-SIZE: 11pt; FONT-FAMILY: 휴먼명조" /><p><a class="con_link" href="http://enter.world.ac.kr/jsp_/index.jsp" target="_blank"><strong><span style="FONT-SIZE: 14pt; COLOR: rgb(76,81,31)">http://enter.world.ac.kr/jsp_/index.jsp</span></strong></a></p><div align="left"><div class="og"><div class="box"><div class="thumb s_size"><a style="TEXT-DECORATION: none" href="http://enter.world.ac.kr/" target="_blank"><img src="http://dthumb.phinf.naver.net/?src=%22http%3A%2F%2Fenter.world.ac.kr%2Fimages_%2Fdcsc%2Fcommon%2Fmain_logo.jpg%22&type=f220" /></a></div><div class="txt"><a style="TEXT-DECORATION: none" href="http://enter.world.ac.kr/" target="_blank"><div class="tit">세계사이버대학 입학홈페이지</div><div class="dsc">세계사이버대학 신ㆍ편입ㆍ시간제 모집일정은 2016년12월1일부터 2월 11일까지 입니다.</div><div class="cp">enter.world.ac.kr</div></a></div></div></div><div align="left"><img class="m20" src="http://static.naver.net/blank.gif" /></div></div><p><strong></strong></p><p><strong><span style="FONT-SIZE: 14pt; COLOR: rgb(76,81,31)">학과사무실 상담전화(031-785-3434 김은주조교)</span></strong> </p><div class="autosourcing-stub-extra"></div>
|